2023년 청년도약계좌 6월에 출시 됩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2023년 청년도약게좌 대상, 조건 등에 관심리 이어지고 있습니다. 2023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자가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5년 만기 상품 입니다 비과세 혜택 받게되고.5천만원 이라는 거액의 목돈마련이 가능 해졌습니다.늘은 2023 청년도약계좌 조건과 신청기간에 대해서 정리를 해봤습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꼼꼼하게 확인 하셔서 꼭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2023 청년도약계좌 조건은 청년(만 19세~34세) 중 개인소득 기준 (총 급여 기준 6000만원 이하는 정부기여금 지급/비과세 적용, 총급여 기준 6000~7000만원은 정부기여금 지급없이 비과세만 적용)과 가구소득 기준(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을 충족하는 경우 가입합 수 있습니다.
병역을 이행한 경우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시 미산입 됩니다. 다만,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대상자는 가입 제한됩니다.
금융소득(이자소득과 배당소득 합)이 20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기여금 지원) 가입자는 개인소득 수준,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개인소득이 4800만원(총급여 기준)이하인 경우 납입한도(월 70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금액을 납입(월40~60만원)하더라도, 정부기여금을 모두 수령할 수 있도록 기여금 지급한도를 별도로 설정 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
2023 청년도약계좌 상품은 가입후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될 예정이며, 3년을 초과하여 고정금리가 적용되는 구조의 상품도 출시할 수 있도록 취급기관가 협의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정부가 2023 청년도약계좌로 5년관 5000만원을 모으게 하려면 금리가 연6% 이상 되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는데, 현재 적금 평균 금리가 4%임을 감안할 시 약 400만 원 이득이라고 합니다.
2023 청년도약계좌 만기 수령액은 (1) 본인 납입금과 (2) 정부 기여금 (3) 경과 이자가 합산된 금액으로 지급되고, 이자소득에는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유의사항
중도해지
이유없이 중도해지는 불가 합니다. 특별애지와 일반해지의 사유일 경우에는 중도해지가 가능합니다. 단, 일반적인 중도해지는 본이납입금만 지급이 되고 정부지원금 및 비과세 혜택도 지원받지 못한다는 점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지역별지원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분양주택,2자녀 다자녀 물량 배정 (0) | 2023.03.29 |
---|---|
온라인 예금상품 중개서비스 추진현황 및 향후 계획 (0) | 2023.03.23 |
2023년 긴급생계비 소액대출 신청 방법 및 대상 (0) | 2023.03.21 |
2023년 청년창업 특례보증 지원사업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15 |
댓글